Upcycling 사업
깨끗한 사회, 깨끗한 건설문화 ! 장형기업이 만들어 갑니다.
Upcycling Business : Upgrade + Recycling
자원순환형 사회 구축
장형그룹은 정부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보다 앞서가는 자원순환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- 적용기간 : 2021년 ~ 2025년(5년)
- 법적근거 : 건설폐기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8조 규정
- 정책목표 : 생태환경보전 및 자원순환성 강화 인프라 구축
2016년까지 실질재활용율 45% 달성 목표(2010년 31%)



- 기본방향
- 자원의 순환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중점
- 정책 목표
-
생태환경보전 및 자원순환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
정책기조 - 건설폐기물 배출 저감
- 순환골재 유통시스템 개선
- 환경관리의 강화
- 순환골재 품질향상을 위한 인프라 개선
- 7대 주요 추진과제
-
1. 분별해체 관리강화 및 의무화제도 도입
2. 건설폐기물 유통시스템의 구축
3. 건설폐기물 재활용 확산 추진
4. 건설폐기물 재활용의 생태환경보전 관리강화
5. 건설폐기물 발생원 단위 확립
6. 건설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개선
7. 건설폐기물 기술선진화 및 성장동력화 기반 구축
총 1.5조원의 경제적 이익 발생 – 연평균 3,064억원
자원순환정책의 신패러다임
none
- 인식
- 여건
- 비전
- 목표
- 지표
- 정책
Before
- 버려지는 폐기물
-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심화
-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
- 안전처리 및 재활용율 제고
- 재활용율
- 생산자책임재활용제, 쓰레기종량제, 처리시설 확충
After
- 다시 사용되는 순환 자원
- 원자재, 에너지 고갈과 기후 변화
-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
- 폐자원 Upcycling 체계 구축
- 자원순환율, 최종매립자원량
- 질적재활용, 폐자원 에너지화, 처리시설 광역화
자원순환의 의미

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 제정 및 기대효과
none
- 경제적
- 환경적
- 사회적
현재
-
천연자원 고갈로
자원 해외 의존도 증가
(에너지의 97%, 광물자원 90% 수입 중) -
매립지 잔여 용량 감소로
쓰레기 대란 우려
-
매립지 주변 환경 악화로
지역 주민 반대 심화
제도도입 이후
-
순환자원 이용확대
(연간 재활용 약 1천만톤 증가)
1조 7천억 재활용 시장, 약 1만개 일자리 창출 -
매립지소각부담금 부과로
매립량 감소
매립장 수명 연장 -
주변환경개선, 지역주민 지원
배출자와 매립지 주변 지역간 상생